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안녕하세요. KJ톡톡입니다 😊


    최근 몇 년 사이 전국 곳곳에서 깡통전세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.

     

    특히 사회초년생,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허위 매물이나 시세 대비 과도한 보증금 책정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.


    오늘은 전세사기에서 가장 흔히 등장하는 깡통전세의 유형과 실제로 위험성이 높은 지역, 그리고 예방 방법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.

    [5편] 깡통전세 위험 지역과 건물 유형 총정리
    [5편] 깡통전세 위험 지역과 건물 유형 총정리

    🏠 깡통전세란?

     

    깡통전세란 전세보증금이 집값(매매가)과 거의 같거나 더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.

     

    집값이 하락하거나 집주인이 대출을 연체해 경매로 넘어갈 경우, 세입자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특히 ‘허위 시세 조작’을 통해 깡통전세로 유도한 뒤 사기를 치는 경우도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.

    📍 위험 지역 TOP

    • 인천 미추홀구 – 신축 빌라 밀집, 분양업자 주도 깡통 매물 많음
    • 서울 관악구, 중랑구 – 전세가율 90% 이상 다가구 주택 다수
    • 대전 서구 – 시세보다 높은 전세 계약 후 보증금 미반환 사례 빈번
    • 부산 사상구 – 2023년 피해자 급증, 연쇄 경매로 보증금 몰수
    • 경기도 안산, 수원 외곽 – 청년 대상 저가 빌라 위주 허위 매물 성행

    🚨 이런 건물은 주의하세요

    • 최근 3년 내 준공된 신축 빌라 (정확한 시세 없는 경우)
    • 다가구/다세대 주택 – 층수, 호실 누락으로 전입신고 어려움
    • 소유권 분할 거래 – 한 주소지에 여러 명이 계약
    • 등기부등본상 근저당 설정 금액이 큰 매물
    • 보증보험 불가 통보를 받은 매물 (위험 신호)

    🔎 깡통전세 예방 체크리스트

    등기부등본 열람: 집주인과 권리관계 확인
    확정일자 등록 및 전입신고 함께 진행
   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미리 확인
    ✔ 주변 시세는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확인
    ✔ 거래 전 해당 매물 주소로 인터넷 검색하여 피해 사례 있는지 확인

    🧡 마치며

     

    깡통전세는 단순한 부동산 문제가 아닌 삶을 뒤흔드는 큰 위험입니다.

     

    오늘 소개해드린 지역과 유형, 예방수칙을 꼭 기억해 안전하게 전세계약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.


    KJ톡톡은 언제나 여러분의 든든한 정보 파트너가 되어 드릴게요.

     

    📌 다음 편 예고


    [6편]에서는 보증보험 가입을 통해 어떻게 전세사기를 대비할 수 있는지, 실제 가입 절차와 조건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
     

    #깡통전세 #위험지역 #전세사기예방 #신축빌라주의 #등기부등본 #확정일자 #보증보험 #KJ톡톡

    반응형